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개발자 로드맵]62

문자열 슬라이싱에서 끝에 0을 기입하면 빈 값을 리턴하는 이유 문자열 슬라이싱을 갖고 놀다가 재밌는 부분을 발견했다. url = "http://sharebook.kr" print(url[-2:0]) 의도한 출력 값은 kr을 출력하는 것이다. 그런데 빈 값이 리턴된다. 아, 물론 문법에 설명에 따르면 끝자리를 비워두면 끝까지 출력되므로 아래와 같이 작성하게 되면 원하는 값을 출력하게 된다. url = "http://sharebook.kr" print(url[-2:]) 왜 그런 걸까? 정확하지는 않지만 서치 해본 결과로는 일단 마이너스로 인덱싱하는 방식은 언어에서도 많지 않고 실제로 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완벽하지 않은 점이 있다고 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짐작해 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슬라이싱의 정의는 [시작 인덱스 : 끝 인덱스 : 증가폭]이다. [-2 : 0].. 2023. 9. 21.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기본 파일 처리 파일 처리 기본 # 파일 처리 # 읽기 처리/ 쓰기 처리 # 파일처리의 과정 # 각각의 파일처리에 사용되는 함수는 외워야 한다. # (1) 스트림 연결(stream) : 파일끼리 연결하는 것 # w 쓰기모드, a 추가해서 쓰기 모드, r 읽기 모드 # 파일 = open("경로", "모드") 파일 = open("test.txt", "r") # (2) 스트림을 통해 데이터 통신 문자열 = 파일.read() print(문자열) # (3) 스트림 해제 # 작은 프로그램에서는 파일 닫기를 안해도 상관없기는하지만 # 큰 프로그램에서는 반드시 파일 열고 닫기를 하는 습관을 가지는 게 좋다. 파일.close() with 구문 # 상기 코드를 with 코드를 활용하면 close를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 자주 사용되는.. 2023. 9. 21.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람다, key 키워드 매개변수 람다 함수 기본 # 람다: 간단한 함수를 간단하게 해주는 문법 def power(숫자): return 숫자 ** 2 power2 = lambda 숫자: 숫자 **2 print(power2(10)) #위와같은 람다 식을 쓰게되면 power함수와 정확히 동일한 동작을 한다 def is_odd(숫자): return 숫자 % 2 == 1 is_odd2 = lambda 숫자: 숫자 %2 ==1 print(is_odd2(3)) #위와같은 람다 식을 쓰게되면 is_odd함수와 정확히 동일한 동작을 한다 #간단한 한줄의 return 값 만을 쓰기 위해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 별로라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한줄에 간단하게 사용하는 방식이 람다. 람다를 인라인 함수로 사용하기 람다 함수 기본을 익혔더라도 이것이 얼마나 큰.. 2023. 9. 20.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콜백함수, map/filter 함수 들어가기 앞서 # 함수는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def call_10_times(): print("호출되었습니다") a = call_10_times print(a) a() # 함수를 변수에 집어넣을 수 있다. # 위의 말은 함수 a를 호출 할 수도 있다는 말과 같다. 함수를 매개변수로 전달하기 # 함수는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함수를 콜백함수라고 한다. def call_10_times(콜백함수): for i in range(10): 콜백함수(i) # print_hello(i) def print_hello(매개변수): print("안녕하세요", 매개변수) # 매개변수를 함수로 입력해서 전달 call_10_times(print_hello) 콜백함수의 활용 예(1): map # map(.. 2023. 9.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