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플러터2 AssetImage()와 Image.asset()의 차이 AssetImage() 이미지를 전달해주는 클래스 Image.asset() 직접 그림을 그리는 위젯, 아래 내용을 보면 Image.asset은 AssetImage()클래스를 이용해 이미지를 가져온다. AssetImage(), Image.asset()의 사용 구분 나의 경우 backgroundImage 속성을 사용할 때, Image.asset()을 사용할 때 오류를 발생하게되어 차이를 알아보게되었다. backgroundImage 속성을 확인해보면 객체 타입을 받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고로 위젯 타입인 Image.asset()은 해당 속성에서 사용 불가하다. 반면 Scaffold()의 body 속성에서는 위젯 타입을 요구하므로 이때는 Image.asset()이 사용 가능하다. 2024. 4. 5. 코드팩토리의 플러터 프로그래밍 도서 증정 이벤트 공유 앱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는 다양하다. 그 중 플러터는 가장 핫한 언어인데, 국내에서는 많이 활용되고 있지는 않아 도서나 인강으로 지식을 획득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코드팩토리님은 유투브나 인프런에서 많은 분들께 검증이된 개발자로 보인다. 이 책은 아무래도 플러터로 효율적인 앱을 개발하고자 하는 분들께 분명 도움이 될 서적으로 판단된다. 하기 링크는 저자의 친필 사인이 담긴 도서를 증정 받을 수 있는 이벤트로 많은 분들께도 알려져서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는 개발자들이 되었으면 좋겠다. https://goldenrabbit.co.kr/event/flutter_free/#send 《코드팩토리의 플러터 프로그래밍》 저자 친필 사인본 증정 이벤트 - 골든래빗 플러터 No.1 도서 《코드팩토리의 플러터 프로그.. 2023. 2. 1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